이슈/마케팅
![](https://trendsafari.co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뉴스클립1-15.png)
MZ세대…마트 대신 인스타 “아는 농부한테 지갑 연다”
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개인 농장으로부터 직접 과일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아지고 있다. 일부 농장은 구매를 하려면 티켓팅에 버금가는 ‘선착순 구매 전쟁’에서 승리해야만 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. 비싸고 품이 들더라도 맛있고 희소한 과일을 경험하려는 젊은 소비자층이 주 고객이다.
>2월 18일 매일경제
![](https://trendsafari.co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뉴스클립2-15.png)
‘인플루언서’ 넘어 ‘임플로이언서’로
신뢰할 수 있는 직원 콘텐츠는 고객의 행동을 유도해 매출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다. 따라서 직원의 전문성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브랜드를 옹호하도록 권한을 부여한다면 기업과 직원이 모두 성장할 수 있다. 이때 직원의 노력에 대한 보상과 자율적 참여가 필수라는 것을 잊지 않는다면 임플로이언서 마케팅 성공은 따놓은 당상이다.
>2월 24일 시사저널
![](https://trendsafari.co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뉴스클립3-16.png)
“MZ 골린이 잡아라”…골프 특수 빠진 백화점·대형마트
유통업계가 골프 시즌이 다가오면서 ‘골린이’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.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골프에 MZ세대들이 대거 유입하면서다. 골프 시장은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트렌드로 최근 급성장 중이다.
>2월 24일 쿠키뉴스
![](https://trendsafari.co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뉴스클립4-15.png)
‘콘텐츠커머스’ 뛰어든 유통업계…‘이용자+매출’ 잡아
콘텐츠커머스란 웹예능, 퀴즈쇼 등 흥미로운 영상 콘텐츠 형식에 상품 소개, 구매처 안내 등 커머스 요소를 결합한 방송이다. ‘상품 판매’에 초점 맞춘 라이브커머스와는 달리, 콘텐츠에 좀 더 주력한 것이 특징이다.
>2월 25일 ZDNet korea
![](https://trendsafari.co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뉴스클립5-15.png)
게임·앱·메타버스로 ‘MZ세대 공략’ 나선 대선 후보들
제20대 대선 후보들이 디지털 환경에 친숙하고 최신 트렌드를 추구하는 MZ세대의 표심을 잡고자 메타버스나 온라인 게임 등을 활용한 선거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.
>2월 24일 MBN뉴스